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aws
- full
- 1차 프로젝트
- inner
- then
- Branch
- JavaScript
- Join
- graphql
- 위코드
- 트랜잭션
- 온라인 컨퍼런스
- INCENSE
- 콜백함수
- nestjs
- 6ixsense
- GitHub
- math함수
- increment
- Merge
- Git
- MySQL
- 조인
- PlaceHolder
- docker
- 보안 그룹 규칙
- typescript
- EC2
- AWSOME DAY
- 회고록
- Today
- Total
목록[Dev_Study] (7)
코딩 쏙쏙

트랜잭션은 데이터베이스의 상태를 변환시키는 하나의 논리적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작업의 단위 즉, 한 번에 모두 수행되어야 할 일련의 연산들을 의미 A가 인터넷뱅킹으로 B에게 돈을 송금하였다. 하지만 A의 계좌에서는 돈이 차감되었지만, B에게는 입금되지 않았다. 만약 인출에는 성공했는데, 입금이 실패하였다면 오류가 발생한 것이다. 두 과정에서는 동시에 성공 혹은 실패해야 한다. 이 과정을 동시에 묶는 방법이 트랜잭션이다. 오류가 발생하였을 때 결과를 재반영하는 것이 아닌 모든 작업을 이전의 상태로 복구하고, 처리 과정이 모두 성공하였을 때 만 그 결과를 반영하는 것이다. 데이터 거래에서 안전성을 확보하려는 방법이 트랜잭션이다. 트랜잭션의 성질 1. 원자성(Atomicity) 트랜잭션의 연산은 DB에 모두 ..

1. Session & Cookie Session과 Cookie의 차이점에 대해 알아 보고자 한다. 1-1. 세션(Session) 사용자의 여러 웹 사이트 페이지에 걸쳐 사용되는 정보를 저장하는 방법을 의미 사용자가 브라우저를 접속하여 닫아 서버와의 연결을 끝내는 시점까지를 말한다. 즉, 방문자가 웹 서버에 접속해 있는 상태를 하나의 단위로 보며 그것을 세션이라고 한다. - 세션의 특징 1. 웹 서버에 웹 컨테이너의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정보를 저장한다. 2. 웹 서버의 저장되는 쿠키 3. 브라우저를 닫거나, 서버에서 세션을 삭제했을때만 삭제가 되므로, 쿠키보다 비교적 보안이 좋다. 4. 저장 데이터에 제한이 없다. 5. 각 클라이언트 고유 Session ID를 부여한다. ( Session ID로 클라이..

인증(Authentication) & 인가(Authorization) 1. 인증 인증단계에서는 사용자의 신원을 확인한다. 인증 기술은 사용자의 자격 증명 정보가 데이터 인증 서버의 자격 증명 정보와 일치하는지 확인하여 인증 절차를 통과한 시스템에 대해 액세스 제어를 제공 한다. 1-1. 인증의 유형 유형 내용 SFA (단일 요소 인증) 아이디, 비밀번호 2개만 받는 인증 단, 쉽게 보안에 문제가 생긴다. 2FA 2단계 인증(고유코드, 지문 등), SFA보다 보안이 안전 MFA (다중 요소 인증) 2FA보다 더 추가하여 보안을 강화 3개 이상의 신원 확인 1-2. 인증 절차 - 회원가입 절차 서비스 이용을 WANT 사용자는 가입절차를 진행 →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 사용자 아이디와 비밀번..

1. 단방향 암호화 그림.1)과 같이 단방향 암호화는 평문을 암호화 할 수는 있지만 암호화된 문자를 다시 평문으로 즉, 복호화가 불가능한 암호화 방법이다. 주로 해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단방향 암호화를 구현한다. 그렇다면 사용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주된 이유는 메시지 또는 파일의 무결성(intergrity)을 보장하기 위해서다. 원본의 값이 1bt라도 달라지게 된다면 해시 알고리즘을 통과한 후의 해시값이 매우 높은 확률로 달라 지게 된다. 결과로 메시지나 파일이 원본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해시의 무결성을 보장하는 특징을 이용하여 저자서명, 파일 또는 데이터의 식별자, 사용자의 비밀번호, 블록체인 등에서 활용되고 있다. (대표적인 해시 알고리즘으로 MD5, SHA 등이 있다.) 2. 단방향 암호화의 ..
router란? 서로 다른 네트워크들을 연결해주는 장치 router 폴더의 index.js의 코드들을 보시면 //routes/commentRouter.js const express = require("express"); const commentController = require("../controllers/commentController"); const router = express.Router(); router.post("/product", commentController.product); module.exports = { router, }; 내가 가지고 있는 usersRouter, postsRouter, likerRouter, commentRouter 각자의 위치의 데이터로 보내준다. ※ 계속 수정..
Controllers / userControllers.js 의 데이터를 가져오려면 models/userDao.js models에서 appDataSource.js를 만든다면 SQL과 연결해주기 때문에 const { DaoSource, DataSource } = require("typeorm"); 다른 models에서도 연결 해주는 간단한 소스코드로 간략하게 쓸 수 있다. // appDataSource.js const { DaoSource, DataSource } = require("typeorm"); const appDataSource = new DataSource({ type: process.env.DB_CONNECTION, host: process.env.DB_HOST, port: process.env..